분류 전체보기 172

벡터, 행렬

2015. 12. 1. 0:35 https://blog.naver.com/nagne2011/220554979706 :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 특징) i) (다이렉트9 에서는) 왼손좌표계를 사용 ii) 벡터의 크기(길이)는 (그러나 코드 내에 루트 연산이 들어가면 계산이 느려지므로 보통 제곱을 이용한다 iii) 노말벡터 : 벡터의 길이가 1인 벡터. 일반 벡터를 노멀벡터화 시키는걸 '노멀라이징' (정규화) 라고 하며 의 방법을 이용해서 정규화한다 하므로 iv) 벡터의 크기비교 : 각 항(x,y,z) 끼리 비교하여, x1 = x2, y1 = y2, z1 = z2등으로 비교하면 되지만 벡터는 보통 float값으로 비교등식이 엇나갈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서로의 차이가 일정값 이하일경우 등식이라고 본다 (단, 이때 ..

개발공부 2022.02.13

자료구조

2015. 11. 30. 23:03 https://blog.naver.com/nagne2011/220554891567 i) 배열 : 단순히 일정 메모리를 확보한뒤 해당 위치에 삽입 -> 크기의 제한이 있는 단점 (그렇다고 크기를 크게 잡아주면 낭비) -> 중간에 데이터를 끼워넣거나 빼면 일일히 위치를 다시 잡아줘야되기 때문에 상당히 느림 ii) 리스트 : 해당 노드에 데이터값과 Next를 선언해두고 Next가 다음 노드를 가리키고 맨 마지막 노드는 NULL을 가리키면서 끝나는 자료구조형으로써 맨 첫번째 노드(Head)의 Next를 따라서 자료들을 저장하는 방식 각 노드가 메모리 공간에 흩어져있기 때문에 순서를 알기위해선 일일히 Next를 따라가야되는 단점이 있다 (= 랜덤 엑세스가 느림) ..

개발공부 2022.02.13
728x90